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청약이라고 흔히
말씀하시는 "청약"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
가장 쉽게 예시 먼저 들고 설명해드릴게요!
(분양이라는 단어를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다 보니 이해를
위해 사용한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청약공고 (청약자 확인)
저는 인터넷에서 뽀삐라는 강아지를
분양한다는 글을 봤어요.
2. 청약자격확인
저는 강아지를 키우지 않아서 청약 당첨을
1순위로 당첨받을 수 있도록 1순위
분양으로 청약신청을 했어요.
3. 청약신청
그 강아지가 너무 키우고 싶어서
어플을 통해서 강아지 분양신청을 했어요.
4. 청약 당첨
강아지 청약에 제가 1순위로 당첨되었어요.
분양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돈을 준비했어요.
5. 정당계약
계약 당일날 뽀삐를 바로 분양받을 수
있는 줄 알았어요. 그런데 제가 뽀삐를
키울 수 있는 자격을 확인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서류를 제출하라고 합니다.
그래서 필요한 서류를 첨부하고
계약금 10%를 입금했어요.
6. 중도금 납입
뽀삐를 분양받기 전 건강하게 자란
상태에서 받을 수 있도록 추가로
필요한 돈을 지불했어요.
7. 잔금납입 및 등기
뽀삐를 받는 날이 되었어요. 뽀삐를 분양
받기 위해 입금한 금액에서 나머지 잔금을
모두 입금하고 서류에 뽀삐를 분양한다는
서류를 작성하고 분양받았어요.
지금까지 아파트 분양을 받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예시를 들어 설명했어요.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분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해드릴게요 :)
사전 준비
청약통장 가입
청약통장은 아파트 분양을 받을 자격을 얻기
위해 가입하는 통장입니다. 종류는 청약
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등 종류가
다양하나 대부분 청약통장 만드는 방법은
일반 저축통장 개설과 동일하기에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답니다.
(인터넷 가입 가능)
25평(59타입) 기준 300만원이 예치되어
있어야 하고 납입 횟수는 청약과열지구
(서울 전체), 조정 지구(부산) 등 지역 부동산
투기가 심한 정도에 따라 청약 납입 횟수도
상이한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300만원
일시금으로 넣어두고 2만원씩 월 이체로
입금하면 납입 횟수는 조정지역이 아닌 이상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1. 청약공고 (청약자 확인)
청약 공고문이 발표될 때 꼭! 확인하셔야
될 사항이 있어요.
부동산이 전매가 가능한지?
중도금 무이자인지?
입지가 좋은지? 대단지 인지?
위 사항은 필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 전매 : 구입한 부동산(분양권 포함)을
단기적 이익을 바라고 되파는 것
2. 청약자격확인
청약을 신청하려고 할 때 자신의 청약 순위
조건을 확인해서 넣으셔야 합니다.
당첨되었는데 자신의 청약 순위, 점수가
맞지 않는데 실수 혹은 고의로 신청하여
당첨될 경우 자격 미달로 청약자격이
5년간 박탈될 수 있답니다 :(
3. 청약신청 (애플리케이션 "청약 HOME")
예전 청약신청 방법과는 다르게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청약신청을 할 수 있어요.
은행기관 공인인증서를 준비해주시고
공인인증서를 PC를 통해 휴대폰으로
복사만 하면 끝이랍니다!
4. 청약 당첨
청약이 당첨되면 부동산 청약 공고문에
명시된 당첨자 구비서류를 준비해서
정당 계약일 날 분양사무실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제출하는 서류는
주민등록 초본과등본, 가족관계 증명서,증명서,
은행 납입 수수료(폰뱅킹 가능)입니다.
5. 정당계약
계약 당일날 청약 계약(아파트 값 10%)을
위해 일정 금액을 이체하시고 이체내역과
사전에 준비한 서류를 계약 담당자에게
전달하면 정당계약은 끝이랍니다.
서류는 정당계약 기간으로부터
7일 정도 계속 검수하며 자격
이상 유무를 확인 후 유선통보한답니다.
6. 중도금 납입 (아파트 가격의 60%)
중도금 납입은 아파트를 짓는 건설사와
협력한 은행에서 중도금 대출을 받은 후
분양사무소 계좌로 입금하시면 됩니다.
7. 잔금납입 및 등기
아파트 완공 후 계약금 10%와 중도금
60%를 제외한 나머지 30%를 입금하시고
부동산 등기부를 작성하여 기관에 제출
하시면 아파트 소유는 건설회사 명의에서
계약자의 명의로 이전되게 됩니다.
이렇게 청약 신청 과정을 간결하게 설명
했는데 부동산 정책으로 계속 바뀌는
법 때문에 아직도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ㅠㅠ 자세한 사항은 계속해서
포스팅하도록 할게요!
'부동산 초보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초보일기] 대장아파트가 뭐길래?? (0) | 2021.01.01 |
---|---|
[부동산 초보일기] 도대체 집 값이 왜 오를까? (0) | 2020.12.30 |
[부동산 초보일기] 부동산 하락신호를 "캐치"하자 (0) | 2020.12.21 |
[부동산 초보일기] 뷰(View) 관점에서 부산 부동산 파악하기 (4) | 2020.11.24 |
[부동산 초보일기] 지하철노선으로 부산 부동산 파악하기 (0) | 2020.11.16 |